[참고]
https://codekiller.tistory.com/1824#google_vignette
https://www.movavi.com/kr/learning-portal/best-obs-settings-for-recording.html
https://m.blog.naver.com/padamu1/222199374802
https://streamlabs.kr/2019/10/obs-studio-best-encoding-2019/
-'녹화를 위한 OBS 최적화 방법'에 대한 많은 글에서는 NVENC H.264 설정을 사용해야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이 설정이 최고 품질의 비디오와 스트리밍을 만들기 때문에 맞는 말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설정을 사용하려면 NVIDIA 그래픽 카드가 필요하고, 이 그래픽 카드가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x264를 기본 인코더로 권장합니다. NVIDIA 그래픽 카드가 있는 경우, NVENC H.264 설정을 사용하십시오. 그럼, 게임을 녹화하거나 스트리밍할 때 확실히 차이가 느껴질 겁니다.
-인코더 사전설정의 경우 CPU 사용량이 100이 안나오는 설정값을 찾으면 됩니다. (사용량이 100%가 나올경우 영상에 끊김이 엄청 심해집니다.) 저는 게임에 따라 veryfast 와 faster를 번갈아 가면서 설정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축소필터의 경우 큰 차이를 보여주지는 않지만 여러군데 검색하면서 찾아본 결과 Lanczos가 가장 무난한 선택이라고 하네요.
-출력 배율 재조정 옵션은 가능한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 옵션을 사용해서 화면 크기를 바꾸면 이 작업을 CPU가 하게되어 인코딩에 가뜩이나 바쁜 CPU에 더 많은 일을 시키는 꼴이됩니다.
-
Flash Video(.flv) : FLV는 스트리밍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파일 포맷입니다. 주로 동영상 스트리밍 할 때 사용됩니다.
Matroska 비디오(.mkv) : 장시간 녹화에 접합한 녹화포맷입니다. H.264와 H.265(HEVC) 등, 다양한 포맷을 지원하며 MP4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MPEG-4(. mp4) : OBS 스튜디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녹화형식으로 고품질의 비디오와 오디오를 저장하고 재생합니다. (높은 호환성, 높은 압축률, 스트리밍도 지원)
QuickTime(. mov) : 무손실 또는 고화질 데이터를 보존하는데 이상적입니다. 여러 트랙을 한 파일에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MP4 [베타](. mp4) : MP4 포맷의 실험적인 녹화형식으로 알고 계시면 될 듯하네요. 녹화 도중 문제 발생 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도입되었지만, 많이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Fragmented MP4 비디오(. mp4) : MP4의 변형된 녹화형식으로 데이터를 조각단위로 분리하여 "mdata" 형식의 블록단위로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MPEG-TS(. ts) : 디지털 방송 및 스트리밍 환경에서 효율적인 전송과 재생을 위한 녹화형식입니다. 실시간 전송에 최적화된 형식입니다.
출처: https://codekiller.tistory.com/1824 [CODEKILLER:티스토리]
-
FFmpeg ACC : 음향압축기술로 FFmpeg에서 사용하는 오디오 코덱 (비디오와 오디오의 동기화가 중요한 경우에는 ACC를 사용합니다. 저는 반디캠으로 동기화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OBS에서 FFmpeg ACC를 선택하였습니다.)
FFmpeg ALAC(24비트) : ALAC는 애플이 개발한 오디오 코덱.
FFmpeg FLAC(16비트) : 고해상도 오디오, 음악스트리밍에 적합한 코덱
FFmpeg Opus : 보통은 실시간 통화에서 많이 사용되는 코덱
FFmpeg PCM :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변화하는 포맷 형식의 코덱. (WAV, AIFF 등이 있음)
==========================



'포스팅 > 영상 편집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신체모음.zip - GV시사회 (0) | 2023.09.12 |
---|---|
[편집] 영상+음성 싱크 맞추기(Synchronize) (0) | 2022.03.04 |
[편집] 영상 제작 시 폴더 구성하는 법 (7) | 2022.03.04 |
[동시녹음] 무선마이크 와이어리스 활용법 (0) | 2022.03.02 |
[프리미어] 시퀀스 구성법 - 복사(Copy)와 복제(Duplicate)의 차이 (0) | 2022.02.24 |
[조명이론] 하루만에 조명 기초 다지기 (3) | 2020.01.25 |
[다빈치리졸브] 색보정 가이드 (0) | 2018.05.10 |
[파컷셋팅] 방송용 / 영화용 (0) | 2014.04.01 |
[EDIUS/프리미어] 편집 가이드 (0) | 2014.01.29 |
[카메라] 6mm 실습 (0) | 201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