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화] 변상벽 - 어미닭과 병아리
화재 변상벽(和齋 卞相璧 1730 ~ ?)
화재(和齋) 변상벽(卞相壁)은 도화서 출신의 직업 화가로 영조 연간에 활동하였던 조선 후기의 화가이다. 본관은 밀양, 자는 완보(完甫), 호는 화재(和齋)이다. . 1763년과 1773년 두 차례에 걸쳐 영조 어진(英祖御眞) 제작에 참여하였다. 그것을 계기로 숙종 때 화원(畵員)으로서 현감(縣監)에 오르게 되었다.
닭과 고양이를 잘 그려 변고양이[卞猫], 변계(卞鷄)라는 별명이 붙을 만큼 고양이를 사실적으로 잘 묘사하였는데, 고양이뿐만 아니라 닭이나 개 등 영모화에 뛰어난 솜씨를 발휘하였다. 그의 작품으로 전해오는 고양이나 닭 그림은 그의 명성에 손색이 없이 동물의 생김새나 동작들을 아주 실감나게 묘사하고 있다.
대표작으로 (화조묘구도〉와〈고양이와 참새〉,〈암탉과 병아리〉등이 있다. 었으며, 초상화도 잘 그려 국수(國手)라는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실제로 전해지는 초상화 작품은 없고 그의 명성은 동물화에서 더욱 잘 드러난다. 조선 후기 사실주의 화법의 전개에 중요한 구실을 했으며, 사생풍 동물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생몰년은 미상이다.
그의 고양이 그림은 일상생활 속에서 이루어진 동물에 대한 깊은 애정과 면밀한 관찰을 바탕으로 한 세밀하고도 빈틈이 없는 묘사를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그가 보여주는 동물화의 뛰어난 사실력은 결과적으로 그의 인물초상화 능력과 서로 관계가 있던 것으로, 도화서화원(圖畵署畵員)으로서 그가 발휘한 특기는 역시 초상화였던 것 같다.
《진휘속고 震彙續攷》에 의하면 “화재는 고양이를 잘 그려서 별명이 변고양이었으며 초상화 솜씨가 대단해서 당대의 국수(國手)라고 일컬었는데 그가 그린 초상화는 백(百)을 넘게 헤아린다.”라고 하였다. 초상화작품으로 알려진 것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윤급(尹汲)의 반신상(半身像)이 있으나 특별히 두드러진 솜씨를 보여주고 있지는 않다.
그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작품으로는 〈묘작도 猫雀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를 들 수 있는데, 희롱하는 한쌍의 고양이와 다급해서 지저귀는 참새떼의 모습을 섬세한 필치로 실감나게 묘사했을 뿐 아니라 바야흐로 새순이 돋은 고목의 연초록 나뭇잎을 먹을 듬뿍 찍은 윤필(潤筆)로 멋지게 그려내어 동물들의 섬세한 묘사와는 대조적인 문기(文氣)를 곁들여주고 있다. 이밖에 대표작으로는 〈계자도 鷄子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웅자계장추도 雄雌鷄將雛圖〉(간송미술관 소장) 등이 전한다.
어미닭과 병아리(鷄子圖)
변상벽, 조선, 99.4×44.3㎝, 18세기, 비단에 엷은색
이 그림은 어미닭과 병아리의 다정한 한때를 따뜻한 시선으로 실감나게 그려내고 있다.
<고양이와 참새(묘작도, 猫鵲圖)>와 함께 변상벽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그림이다.
윤기 나는 깃털을 가진 어미닭, 솜털이 폭신하게 난 햇병아리들을 세밀하게 표현하였다.
어미닭의 윤기 나는 깃털을 하나하나 치밀하게 묘사하여 암탉 특유의 꼿꼿한 품새를 잘 표현하였으며,
병아리들의 폭신한 솜털에는 손을 뻗어 쓰다듬고 싶어진다.
변상벽의 암탉 그림을 수탉이 실물로 오인했다는 일화가 이해되는 순간이다.
병아리들에게 먹이를 주는 어미닭과 어미에게 모여드는 병아리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날벌레 하나를 잡아서 병아리들에게 먹이려고 하는 어미닭의 정성이 그지없다.
어린 병아리들은 황갈색의 뽀얀 털과 팔락거리는 날개를 달고
먹이를 서로 물고 잡아당기고, 목을 축이며 하늘바라기를 하고,
어미의 다리 사이에서 숨바꼭질하고, 나른한 햇볕에 졸는 등 그 천연스런 생태 묘사가 절묘하다.
꽃과 나비와 벌의 묘사 역시 각각의 특징을 잘 잡아내어 봄날의 화창함을 생생하게 전한다.
이에 비해 오른쪽의 괴석은 호방하고 빠른 필치로 간략하게 그려내어
묘한 대비를 주며 그림의 운치를 살려주고 있다. 어미닭과 병아리들을 더욱 돋보이게 만들고 있다.
조선 후기 실학자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은 변상벽의 닭과 병아리 그림을 보고
마리마다 살아있는 듯하다고 감상평을 남기고 있다.
이 그림과 같이 닭과 병아리를 소재로 한 그림을 보고 남긴 것으로 보이는데,
생생한 묘사력 뿐 아니라 어미닭의 모성애와 병아리들의 천진함까지 담아낸
변상벽의 그림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다산 정약용의 감상평은 다음과 같다.
변상벽은 변고양이라 불리었으니
이번에 다시 닭과 병아리 그림을 보니
마리마다 살아있는 듯하네.
어미닭은 괜스레 노해 있고, 안색이 사나운 표정
목덜미 털 곤두서 고슴도치 닮았고
행여나 건드릴까 꼬꼬댁거리네.
방앗간 주변을 돌아다니다가 땅바닥을 후벼 파면서
낟알을 찾아내면 쪼는 척 하는데
배고픔을 참아내는 어미 마음이야.
보이는 것도 없는데 놀라는 푸닥거리
숲 끝에 얼핏 올빼미가 지나가네.
정말로 자애로운 그 모정, 천부적으로 타고난 것 누가 뺏으랴.
옹기종기 어미를 따르는 병아리들 황갈색 연한 털
주둥이는 이제 여물은 듯
닭 벼슬은 아직도 제 색을 내지 못했고,
그 중에 두 병아리는 쫓고 쫓기며 황급히도 어디를 가는지
앞 선 놈의 주둥이에 물려있는 것을
뒷 선 놈이 따라가서 빼앗으려 하는구나.
두 놈의 병아리 지렁이를 서로 물고 놓으려 하지를 않네.
한 놈은 어미 뒤에서 가려운 곳을 비비고
한 놈은 혼자 떨어져 배추 싹을 쪼고 있네.
형형이 세세하고 핍진하니 도도한 기운 살아있는 듯.
후문에 듣건대 처음 그릴 때 수탉이 오인한 정도였다네.
역시 그가 고양이를 그렸을 때도 쥐들도 마찬가지였을까.
形形細逼眞 滔滔氣莫遏
傳聞新繪時 雄鷄誤喧聒
亦其烏圓圖 可以群鼠愒
뛰어난 솜씨 그런 경지에까지 이르니 떠나고 싶은 생각이 없네.
덜떨어진 화가들이 산수를 그리면서
거친 필치만 난무하는 짓과는 비교할 수 없으리라.
絶藝乃至斯 魔挲意末割
麤師畵山水 狼藉手勢濶
- <증보여유당전서> 권1, ‘제변상벽모계영자도(題卞相璧母鷄令子圖)’에서
- 원문은 진홍섭 <한국미술사자료집성(6), 조선후기 회화편>, 일지사, 1998. pp166-167
- 해석은 이태호, 도판해설 <한국의 美 18, 화조사군자>, 중앙일보사, 1985, p 227 참조
- 정민, <한시 속의 새, 그림 속의 새>, 효형출판사, 2003, pp 57-60 참조
- 박영대, <우리그림 백가지>, 현암사, 2002, pp 217-217 참조
윤급의 초상화
김재로의 초상
http://blog.daum.net/suki0224/8055335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IIRz&articleno=3261610
'작품제작 > 미술 그림 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 전통 화법 복원 독립운동가 초상화 특별전 (0) | 2016.02.28 |
---|---|
[기사] 독립운동가, 실제 모습은 어땠을까? (0) | 2015.08.13 |
<한일 미술해부학 심포지엄> - 전통초상화의 호피虎皮 豹皮에 대한 고찰(박준홍) (0) | 2015.02.07 |
<한일 미술해부학 심포지엄> - 전통초상화 관려 주제 5편 (0) | 2015.02.07 |
<프란치스코 교황 초상화> 2점 (0) | 2015.02.07 |
[동양화] 꽃과 새, 동물의 상징 (0) | 2015.01.31 |
[조선초상화] 호피(虎皮.豹皮)무늬가 표현된 조선초상화 모음 (0) | 2015.01.31 |
[일본/중국 초상화] 호피(虎皮.豹皮)무늬가 표현된 일본/중국초상화 (0) | 2015.01.31 |
[독립운동가] 심산 김창숙 (0) | 2015.01.30 |
[독립운동가] 이봉창 / 박은식 / 손병희 / 전수용(전혜산) / 남자현 (2) | 201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