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제작/미술 그림 전시

<한일 미술해부학 심포지엄> - 전통초상화의 호피虎皮 豹皮에 대한 고찰(박준홍)

Flyturtle Studio 2015. 2. 7. 01:16
320x100


 

 

 

 

 


<한일 미술해부학 심포지엄> - 전통초상화의 호피虎皮 豹皮에 대한 고찰(박준홍)

 

 

 

 

 


조선초상화는 교의에 모피를 걸쳐 놓고 그린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은 표범가죽이다.
이것은 다른 나라의 초상화에서는 흔하지 않는 매우 특이한 현상 중 하나다.

 


1. 유럽

 

 

유럽에서는 일찍부터 초상화가 발달했다.

초상화 속에는 담비, 개, 산양, 사슴 등 살아있는 동물들이 등장한다.

러나 모피를 그린 경우는 헤라가 어깨에 걸친 정도로 매우 희소하다.

 

 


2. 중국

 

 

중국에도 초상화가 성행했지만, 모피의 경우 주로 호랑이에 한정되어 있다.

 

 

 

3.일본

 

 

 

 

일본도 무사 같은 이름 있는 사람들의 초상화가 잘 보존되어 있다. 모피의 경우 초상화에서는 보기 어렵고 풍속화에는 등장한다.

 

 

 


4. 조선-표피위주

조선시대 초상화를 보면 대부분 교의에 호피를 걸친 모습이고 거의 표범가죽에 한정되어 있다.

 

 

 

 

 

 

 

 

5. 호피를 그리는 목적

호피를 사용한 목적은 “신분과 부을 과시”하기 위해서 이기도 하고 이 밖에 교의에 앉았을 때 쿠션 및 보온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실용성도 읽을 수 있다.

호피가 사용된 목적 중 “신분과 부를 과시”하기 위함에 대해서는‘문종실록 5  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제 제용감(濟用監)에서 만약 중국에 진헌(進獻)하는 표피(豹皮)·수달피(水獺皮)와 일본(日本)에 내려보내는 호피(虎皮)라면 반드시 머리와 꼬리와 4발[四足]이 완전하게 갖추어진 것만 바치는 것이 가(可)하고, 그 밖에 노루·사슴·곰과 산달피(山獺皮)도 또한 반드시 완전하게 갖추어진 것을 바쳐야 하니, 각 고을에서는 갖추어 장만하기가 어렵고 값이 비싸 사기도 어려우니, 그 폐단이 작지 않습니다. 청컨대 이제 진헌(進獻)하거나, 사송(賜送)하는 이외에 그 나머지는 비록 완전히 갖추어진 것이 아니더라도 아울러 모두 수납(收納)하게 하소서.”

 

조선조까지 호랑이 가죽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최고의 수출 상품으로 인기를 누렸다.
호피라면 만주족의 말로 표범 가죽은 '아닷개', '아자개' 등으로 불리웠다.

당시는 국토의 70%가 산지로, 노루나 멧돼지 혹은 사슴 등과 같은 짐승이 많이 서식하고 있어서 먹이사슬이 제대로 갖춰져 있었기 때문에 호피는 최고의 수출 상품 중 하나였다.
조선왕조실록 가운데서도 호랑이에 대한 기록이 자그마치 700여건에 달하는데 이것만보더라도 조선시대 백성들이 얼마나 호랑이에 대한 두려움과 피해가 컸던지 가늠해 볼 수 있다.

영조 8년 5월에 전라도 남원부의 백성 우창(禹昌)이 호랑이에 물렸는데 그의 아들이 호랑이의 눈을 찔러 죽여 아버지가 살아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소식을 들은 영조는 그 효를 가상히 여겨 포상을 내렸다고 하니 이처럼 맨손으로 호랑이를 때려잡는 착호군과 같은 용맹스러운 사람이 당시로서는 하나의 우상이 됐던 것이다.
 
이렇게 나라에서는 수출 외에도 안전을 위해 호랑이 퇴치를 위한 사냥을 장려할 수밖에 없었다.

호랑이를 잡아오는 백성에게는 상을 주고 가죽은 진상하였다. 심지어 세종 대인 1421년에는 중앙에 착호갑사(捉虎甲士)라는 호랑이를 잡는 특별부대를 두기도 했다.

지방에는 군현에 착호인, 면단위에는 착호장이라는 사냥전문가를 두어 대대적으로 호랑이 사냥에 나섰다.

호피는 공을 세운 이에게 주는 상이기도 했다. 허준은 1587년 10월에는 태의 양예수 등과 함께 선조를 진료하여 건강이 좋아지자 호피를 상으로 받기도 했다.

그런데 호피라 하면 호랑이 가죽을 뜻하는데 그림 속에는 표범의 가죽으로 등장한다.

이는 조선전기 왕실의 표범 가죽 사용량과 일제강점기 표범의 포획기록에 따르면 과거 한반도는 호랑이의 땅이라기보다는‘표범의 땅’이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표범의 수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6. 호피의 종류

 

 

다음 사진 속 첫 번째는 제규어, 두 번째는 치타, 세 번째는 표범의 가죽이다.

조선초상화 속에는 세 번째인 표범만 등장한다.

이 표범이 아프리카산, 인도산, 중국산, 한국산인지는 알 수 없다.

이는 지나치게 크거나 작지 않고, 무늬에 지역적 특색이 들어있지 않다는 점에서 짚어볼 수 있다.

 

 

 

 


7. 호피를 걸치는 방식 묘사

교의에 호피를 걸치는 방식도 여러 가지가 있다. 주로 등받이에만 걸친 것이 많지만 그림들을 좀 더 살펴보면 발도 있고 또 꼬리도 있고 머리도 보이기도 한다. 때로는 뒤로 걸쳐놓은 것도 있다.

 

 

 

ㄱ. 머리/앞발/등받이/꼬리

 

 

 

ㄴ. 꼬리/뒷발/등받이

 

 

 

ㄷ. 앞발/등받이

 

 

 

ㄹ. 등받이형/방석형

 

 

 

 

 

8. 문관과 무관의 구별 없음

호피는 문관과 무관 그리고 그들이 착용한 관복과 시복에 구별 없이 공통적으로 쓰여 졌다.

주로 양반층에서 사용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조선 말기에 제작된 중인이나 그 외 신분의 초상화에서는 호피. 표피가 쓰이지 않았다.

 

 

 

 

 


9. “호피사용에 있어 어진은 제외되어 있다”


왕의 초상화를 지칭하는 용어로는 어진 외에도 진용(眞容)·진(眞)·진영(眞影)·수용(晬容)·성용(聖容)·영자(影子)·영정(影幀)·어용(御容)·왕상(王像)·어영(御影) 등 다양하다.
1713년(숙종 39년) 숙종어진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 이이명(李頤命)의 건의에 따라 ‘어진’이라는 명칭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정을 내렸다.

 

어진 제작은 원래 성자신손(聖子神孫)이 보은사상(報恩思想)에 근거한 추모의 정례로부터 행하였으며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제작되어 왔다.
역대 왕들은 모두 어진을 남겼으나 왜란과 호란, 일제 강점기, 6.25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어진을 보관했던 건물이 불타는 등의 이유로 많은 수의 작품이 소실되어 지금은 태조, 세종대왕, 영조, 정조, 철종, 고종, 순종의 어진 정도로 남아있다. 

 

어진 제작은 도사(圖寫)·추사(追寫)·모사(模寫)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도사란 군왕이 생존해 있을 때 그 수용을 바라보면서 그리는 경우에 일컫는 말이다.
추사란 왕의 생존시에 그리지 못하고 승하한 뒤에 그 수용을 그리는 경우로서 흡사하게 그리는 것이 가장 어렵다 한다.

조선시대의 몇몇 군왕이나 왕세자의 초상화는 이 방식으로 그려졌다.

그리고 전설상의 시조의 수용 역시 대부분 이 추사 방식에 의거하였다.
모사란 이미 그려진 어진이 훼손되었거나 혹은 새로운 진전에 봉안하게 될 경우에 기존 본을 범본(範本)으로 하여 신본을 그릴 때에 일컫는 말이다.

그런데 추사를 제외한 도사 및 모사가 위와 같이 구별되어 사용된 것은 역시 1713년에 이르러서이다.

그 이전에는 이 두 가지가 단순히 화(畫)나 모사(摹寫)라는 용어로 함께 구분 없이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조선 초상화는 실제의 모습을 묘사하되 눈으로 보이는 묘사외에 기록을 그대로 재현한다는 것도 포함됨을 알 수 있다.

 

어진에서는 호피를 찾아볼 수 없다.

왜냐하면 임금은 용으로 상징되기 때문이다. 임금의 얼굴을 ‘용안’이라고 하고 임금의 옷을 ‘용포’라고도 하며 임금이 사용하는 도자기 등의 물건에도 용이 그려져 있다는 점에서도 이를 짚을 수 있다.

 

<주역 계사 상편>의 대인호변, 군자표변, 소인혁면을 통해 보도록 한다.

 

대인호변(大人虎變) - 대인은 범처럼 변하고
군자표변(君子豹變) - 군자는 표범처럼 변하나
소인혁면(小人革面) - 소인은 얼굴 빛만 고칠 뿐이다

 

“군자는 자기 잘못을 고치는 데 매우 신속하고 확실하여 마치 가을에 새로 난 표범의 털처럼 아름다워 진다”

이렇듯 호피는 조선의 초상화에 있어“군자를 지향한 사람”임을 나타내는 최소한의 지물로서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