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근성으로모은자료

축구를 보는 뇌도 하는 뇌와 같다?

Flyturtle Studio 2016. 3. 27. 13:12
320x100

출처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914&contents_id=111959

 

 

 

 

 

<출처 : 셔터스톡>

 


인간은 누구나 공감 뉴런을 갖고 태어난다

이탈리아 파르마 대학의 신경과학 연구팀은 그날도 원숭이의 행동과 뇌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었다. 잠시 쉬는 시간. 원숭이의 뇌에는 여전히 전극이 꽂혀 있었는데, 이상한 일이 발생했다. 원숭이가 뭔가를 쥘 때나 활성화되는 뇌의 ‘F5 영역’이 갑자기 활성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저 아이크림을 손에 쥔 연구자가 문을 열고 들어오는 모습을 보고 있었을 뿐인데 말이다.1)

 

이 우연한 사건으로, 신경과학자들은 ‘거울 뉴런(mirror neurons)’을 발견했다. 이 신경세포 때문에 우리는 남이 하는 행동을 ‘보는’ 것만으로도, 내가 실제로 그 행동을 ‘할’ 때 내 뇌 속에서 벌어지는 것과 똑같은 일이 일어난다. 거울 뉴런은 일종의 시뮬레이션 세포인 셈이고, 인간 것은 원숭이 것보다 더 정교하다.

 

2002년 한일 월드컵 때 거리 응원을 떠올려보자. “Be the Reds”가 적힌 붉은 티셔츠를 입은 수만 명의 시민들이 대형 스크린 위로 중계되는 대한민국 축구 선수들의 동작 하나하나에 탄성을 지른다. 결정적인 찬스를 날린 선수가 머리를 쥐어뜯는 모습이 클로즈업되고, 그와 동시에 거리의 응원단도 머리를 쥐어뜯는다. 우리는 축구를 ‘보고’ 있을 뿐이지만 거울 뉴런 덕분에 우리 뇌에서는 실제로 축구를 ‘하고’ 있는 것이다.

 

남이 하는 어떤 행동을 내가 보기만 해도, 내가 그 행동을 할 때 내 뇌에서 벌어지는 일을 동일하게 경험하는 것, 이것이 거울 뉴런계의 작용이다. 이것은 남의 입장에서 생각을 해보기 이전에 이미 내 뇌에서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공감 회로라 할 수 있다. 신기하게도 우리는 누구나 이 공감 뉴런들을 갖고 태어난다.

 

거울 뉴런 덕분에 축구 경기를 ‘보고’ 있을 때 우리 뇌에서는 실제로 축구를 ‘하고’ 있는 듯한 긴장감을 느낀다. <출처 : 코리아넷/한국문화홍보원>

 


그렇다면 이 공감 뉴런에 문제가 생기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먼저,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문제가 생긴다. 예컨대 자폐증을 앓고 있는 사람은 사회적 상호 작용에 실패하고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으며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상동증을 보이기도 하는데, 거울 뉴런계 이상도 자폐증의 한 원인임이 밝혀졌다.

 

한편, 타인의 표정을 잘 따라 하지 못하는 사람일수록 타인의 감정을 잘 읽지 못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는데, 이 사례는 운동영역인 거울 뉴런계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거울 뉴런계는 타인을 직접 관찰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준다. 가령, 고통을 당하는 사람의 모습을 관찰하지도 소리를 듣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단지 상대에게 고통 자극이 주어졌다는 신호를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뇌의 정서 영역에서 거울 반응이 일어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심지어 고통을 당하는 사람과 같은 부위의 정서적 반응이 실험자에게서 그대로 나타나기도 했다. 직접 보지 못하고 듣지도 못하는 사람들에게도 우리의 신경은 계속 켜져 있고, 이것은 우리 모두가 신경적으로 네트워킹 되어 있다는 징표이다. 우리 신경은 늘 다른 이들에게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이다. 2)

 

 

복잡한 집단생활을 해나가기 위해 공감 능력이 장착되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생각을 ‘추론’할 수 있는 능력도 진화시켰다. 다른 이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것(역지사지易地思之), 즉 관점 전환 능력은 영장류 중에서도 우리 인간만이 장착한 신무기이다.3) 그래서 우리는 우리와 멀리 떨어져 있거나 감정적으로 연결이 미약한 다른 이들에게까지도 사회적 관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2014년 세월호 희생자 가족의 아픔에 공감하며 함께 슬픔을 나눴다. <출처 : 연합뉴스>


심지어 우리는 동식물, 더 나아가 기계의 관점까지도 취할 수 있다. 이런 비슷한 하소연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강아지가 다쳐서 병원에 갔는데 치료비가 엄청나서 사실 고민을 했어요. 그런데 눈물이 그렁그렁한 ‘딸’을 보고는 얼른 카드를 긁었지요.” 애완동물을 남에게 맡기는 것이 안쓰러워 멀리 여행도 못 가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우리는 점점 공감의 동심원을 넓혀가고 있는 중이다.

 

이 얼마나 다행이며 불행인가! 다른 이의 상태에 신경을 끄고 살고자 해도, 거울 뉴런들은 늘 켜져 있기 때문에, 신경이 쓰이니 이 얼마나 다행인가. 반면 남에게 휘둘리고 싶지 않아 귀를 막고 있어도, 거울 뉴런들이 켜져 있기 때문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니 이 얼마나 불행인가. 대체 인간은 어떻게 사회적 네트워크에서 빠져나올 수 없는 존재로 진화했을까?

 

물론 집단생활은 이점이 많다. 모든 종류의 일, 예컨대 먹이 찾기, 방어하기, 양육하기 등을 홀로 감당한다는 것은 많은 에너지가 드는 비효율적 삶의 방식이다. 반면 공동으로 사냥하고 먹이를 나누고 함께 서식지를 지키는 일은 집단과 개인이 함께 이득을 볼 수 있는 전략이다. 하지만 집단생활은 단점도 있다. 다른 개체들과 함께 무언가를 해야 하기 때문에 그들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그 행동의 의도가 무엇인지 등을 살펴야 한다. 자기만 잘한다고 되는 게 아니다. 게다가 상대방은 언제나 나를 속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내가 상대방을 속일라 쳐도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고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피곤하다. 우리가 집단생활을 진화시킨 영장류인 한, 사회적 복잡성은 우리 조상이 해결해야 할 난제였다.

 

이런 맥락에서 인간의 거울 뉴런계의 작동과 역지사지 능력은 인간 사회의 복잡성 문제를 해결하게끔 진화된 우리의 인지 적응들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이라면 누구나 타인에 대한 공감 및 이해 능력을 장착하고 태어난다고 봐야 한다.

 

 

획일적 사회는 공감 능력을 떨어뜨린다


그런데 문제는 타인에 대한 공감과 이해 능력의 개인차와 문화적 차이다. 즉, 어떤 개인은 공감과 이해 능력이 상대적으로 뛰어나고, 어떤 사회는 다른 사회에 비해 공감과 이해를 중시하고 더 잘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은 조직의 공감 및 이해 지수가 그 조직 구성원의 경험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다. 거울 뉴런계는 타고난 그대로 보존되지 않는다. 그 뇌의 소유자가 어떠한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세부적으로 달라진다.

 

 

 다양성을 많이 경험하는 사회일수록 공감과 이해, 소통 능력이 발달한다. 우리 사회는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일까, 획일화된 사회일까? <출처 : 셔터스톡>


예컨대 늘 걱정하는 엄마의 표정을 보고 자란 아이는 그쪽으로 길든 거울 뉴런계 때문에 남들의 불안한 표정에 훨씬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늘 혼내는 상사 밑에서 일해 온 직장인은 누군가의 부정적 표정만 보아도 뇌는 이미 혼나는 중이다. 따라서 내가 어떤 표정들에 둘러싸여 있느냐가 공감 능력의 미묘한 차이를 가른다고 할 수 있다.

 

역지사지 능력의 경우에도 그것이 어떤 종류의 조직에서 발휘되는 것인가에 따라 그 폭이 달라진다. 가령, 동성애자를 한 번도 만나본 적 없는 사람과 옆집 커플이 동성애자인 사람은 사랑과 결혼의 형태에 대한 상상력의 폭이 똑같을 리 없다. 상상은 추론이지만, 경험은 그 상상력의 증폭(감쇄)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유의 존재들이 내 주위를 둘러싸고 있느냐가 타인에 대한 이해력 증가에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자, 그러면 우리 조직 구성원들의 공감 및 이해 지수를 높이기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다양성 지수를 높이는 것이 한 가지 해답일 수 있다.

 

몇 년 전, 하와이 출장을 갔을 때다. 멋진 해변이 즐비한 유명 관광지다 보니 수영복 패션도 가지각색이었다. 그런데 그 해변에서 인상적인 광경은 수영복의 개성만큼이나 다양한 사람들의 몸매였다. 늘씬한 사람들(여성이든 남성이든)만 몸매를 드러내고 해변을 즐기는 것이 아니었다. 우리 같으면 민망하다고 생각해 해변에서도 꽁꽁 싸맬 몸매들이 그곳에서는 자유를 누리고 있었다. 왜 이런 차이가 있을까?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에서는 공감과 이해가 확장될 수밖에 없다. <출처 : cc)averette>


집단주의적이고 상호의존적인 동아시아 문화를 유산으로 물려받았기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대학입시 관문 앞에 그 개성 넘치는 아이들을 성적순으로 줄 세우는 교육 제도는 ‘생각 다양성’의 주적이다. 한창 다양한 생각을 분출시킬 나이의 청년들을 군대에 보내야 하는 상황은 남북 대치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일이긴 하지만, 국가의 생각 다양성 지수를 갉아먹는 주요인이다. 좁은 땅덩어리에 많은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활용돼온 아파트 문화는 일상에서 생각 다양성을 정체시키는 외부 환경요인이기도 하다. 비슷비슷한 공간을 매일 똑같이 드나드는 우리의 뇌에서 새로운 생각이 샘솟을 리 없다.

 

획일성의 가장 큰 해악은 창의성 없는 사회를 만든다는 데 있지 않다. 더 근본적인 문제는 다양성의 감소가 우리의 타고난 공감 및 이해 능력의 감쇄로 이어진다는 데 있다. 가령, 비키니를 입은 뚱뚱한 몸매를 보지 못한 사회는 그만큼 공감 및 이해 능력이 떨어지는 사회다.

성숙한 조직은 공감과 이해, 그리고 소통이 화두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이제 내 주변부터 살펴보자. 내 공감 뉴런을 밝게 빛나게 만드는 배경들인가, 혹시 역지사지 능력을 감퇴시키는 배경들은 아닌가? 아니, 나는 상대방의 어떤 배경인가? 우리는 우리 모두의 거울 뉴런들이다. 대체 우리는 어떻게 이런 존재로 진화했을까?

 

 

인간의 ‘마음 읽기’ 능력은 계속 진화하고 있다


사회성의 진화를 연구해온 여러 학자는 인류 진화의 독특성을 뇌 크기에서 찾는다. 인간의 뇌 용량은 침팬지의 그것보다 3.5배나 크다. 이런 큰 변화에 대해 인간의 뇌가 생태적 문제보다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졌다고 보는 ‘사회적 뇌 이론(social brain theory)’에 따르면, 영장류 종들의 신피질 비(뇌 용량 대비 신피질 용량의 비)가 그들의 집단 크기와 비례한다. 인간의 경우에는 신피질 비가 대략 4이고 집단 크기는 150~200 정도인데, 이는 침팬지 집단 크기의 약 3배다. 인간이 침팬지 식의 털 고르기(grooming)만으로는 구성원 간의 사회적 유대를 유지할 수는 없다는 이야기다. 깨어 있는 시간 동안 털 고르기만 한다 해도 빠듯하기 때문이다.

 

영장류의 뇌 크기와 집단 크기 비교4)


사회적 뇌 이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인간이 털 고르기를 하는 대신 언어와 마음 읽기 능력을 진화시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해왔다고 말한다. 인간의 큰 뇌는 더 큰 규모의 집단 내에서 효과적인 집단생활을 영위하고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도구였던 것이다.5)

 

인간이 다른 영장류 종들과 달리 어떤 고유한 사회성을 갖는지를 살펴보면 이 사회적 뇌 이론이 더욱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가리키기(pointing)’ 행동을 살펴보자. 인간 아이는 사물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엄마, 저게 뭐야?”라고 묻곤 한다. 이는 자기의 관심을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같이 갖게끔 만들고 공동의 주의 집중을 유도하는 사회적 기술이다. 그러나 우리와 가장 가까운 침팬지와 보노보는 이것을 하지 못한다.6) 가령, 그들 앞에서 달을 가리키면, 그들은 달이 아니라 달을 가리키고 있는 손가락을 볼 뿐이다.

 

“엄마, 저게 뭐야?” 가리키기 행동은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관심사에 공동의 주의 집중을 유도하는 사회적 기술이다. <출처 : 셔터스톡>


흥미롭게도 최근에는 애완견이 이 가리키기의 의미를 이해한다는 연구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개는 우리와는 계통상으로 침팬지보다 훨씬 더 멀지만, 야생 늑대에서부터 시작된 육종 과정에서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데 적합한 정서적·인지적 능력을 진화시켰던 것 같다.

 

마음 읽기(mind reading)는 인간만이 가진 또 다른 사회적 능력이다. 우리 인간은 타인의 의도를 읽는 복잡한 ‘추론’ 과정을 일상에서 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집단생활을 영위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침팬지는 다른 침팬지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추론하지 못한다. 특히 상대방이 잘못된 믿음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읽어내지 못한다.7) 인간은 이렇게 여러 측면에서 차별화된 사회성을 진화시켰다. 즉, 호모 사피엔스는 ‘초사회적(ultra-social) 종’으로 진화했다.

 

다른 사람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침팬지와 달리 인간은 언어와 마음 읽기 능력을 진화시켜 복잡한 집단생활을 효과적으로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 <좌측 출처 : cc)averette / 우측 출처 : 셔터스톡>


초사회적 종으로의 진화는 왜 우리 인간만이 문명을 만들었는가에 대한 한 가지 대답이다. 문명은 개인의 성취를 크게 넘어서는 집단적 결과물이며 고도의 사회성이 없이는 도저히 불가능한 미션이었기 때문이다.

 

인간이 다른 종들에 비해 공감 능력 면에서 최고인 것도 문명의 배후에 인간의 초사회성이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준다고 할 수 있다. 지구에서 이 사회성의 루비콘 강을 건넌 종은 오직 우리 인간뿐이다.

 

 

 

 

 

주석
1
di Pellegrino, G., Fadiga, L., Fogassi, L., Gallese, V. and Rizzolatti, G. (1992), Understanding motor events: a neurophysiological study, Experimental Brain Research 91(1): 176-180.


2
하지만 거울 뉴런계를 통해 인간의 공감 능력, 행위 이해력, 모방 능력을 모두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실제로 신경과학계에서는 거울 뉴런계에 대한 연구 성과들이 과대포장되어 있다는 지적들이 적지 않다. 대표적인 회의적 시각으로는 다음을 참조할 것. Hickok, G.(2014), The myth of mirror neurons: The real neuroscience of communication and cognition, Norton.


3
de Waal, Frans B. M.(2008), Puting the Altruism Back into Altruism: The Evolution of Empath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9:279-300.


4
Dunbar, R.(1998), The social brain hypothesis, Evolutionary Anthropology 6(5): 178-190.


5
Dunbar, R.(1998), The social brain hypothesis, Evolutionary Anthropology 6(5): 178-190.


6
Tomasello, M. (2006), Why don’t apes point? In N J Enfield & S C Levinson (eds), Roots of Human Sociality: Culture, cognition and interaction, Berg, pp.506-524.


7
Call, J. and M. Tomasello (2008), Does the chimpanzee have a theory of mind? 30 years later, Trends in Cognitive Science 12(5): 187-192.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