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스크린이란?]
위키백과 발췌
N 스크린은 한마디로 하나의 스크린으로 볼 수 있었던 콘텐츠를 여러개의 스크린간 상호작용을 통해 볼 수 있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넷플릭스(netflix) DVD렌탈업체로 시작해 지금은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큰 성공을 거둔 사업자입니다. 넷플릭스는 CBS, ABC, NBC등 주요 지상파방송과 주요 케이블 방송사의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고 보는 데 7.99달러이며, 여기에 2달러를 추가하면 무제한 DVD 우편 렌탈 서비스도 가능합니다. 한달에 대략 10달러면 방송과 영화를 어떤 방법으로든 시청할 수가 있습니다. 더욱이 미국에서 출시되는 스마트TV에는 넷플릭스가 기본으로 지원이 되고, 아이폰, 아이패드는 어플로 나와 있습니다. 현재 넷플릭스는 스마트폰, 태블릿PC, TV등 모든 스크린에서 볼 수 있으니.. 진정한 N스크린을 실현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국내시장 진출도 염두해 주고 있다고 하니, 그동안 비싼 가격의 국내 폐쇄형 IPTV사업자들은 긴장 좀 해야 할겁니다^^
구글(Google) 포털사업자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안드로이드 모바일 OS시장에서의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OS의 경우 애플의 OS와는 달리 개방형으로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고 스마트폰뿐 아니라 모든 기기의 핵심 OS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구글의 전햑은 클라우드(Web) 기반의 다양한 웹콘텐츠를 다양한 단말에서 사용가능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구글TV를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G메일, 구글맵, 구글독스등 PC에서의 강력한 콘텐츠로 TV까지 확장하려 하고 있습니다. IPTV와 스마트TV를 통시진행중인 구글의 경우, 포털사업까지 병행하고 있어서 앞으로 보편화 될 N스크린의 종합포털에 가장 가까운 업체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애플(Apple) 'iTunes'라는 대표적 콘텐츠 플랫폼을 가진 회사로, 콘텐츠 유통에서 단말기 제조, OS까지 직접 만들며 사업 부분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2007년에는 셋톱박스 형태의 애플TV까지 선보이며 iTunes의 콘텐츠로 TV까지 진출했으며, 넷플릭스와도 제휴하며 콘텐츠 소싱을 강화했습니다 여기에 애플의 아이클라우드(iCloud)까지 가세하여 웹공간에 사용자의 iTunes의 콘텐츠를 모든 애플의 모든기기에 적용시켜려하니, 애플만의 장점을 더욱 더 플러스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AT&T 미국 이동통신사업자로 2007년 마스터스 골프대회를 3개의 단말기에서 생중계하여 3-screen이란 개념을 처음 도입하였습니다. 초기에는 모바일, PC, TV 각각의 단말에 서로 다른 콘첸츠를 제공했지만 최근에는 "U-verse"란 브랜드 네이밍으로 통합하여, IPTV의 강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또한 Network, Volp번들 상품을 출시하여, 한번의 결제로 모든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볼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스마트폰의 확산에 따라 U-verse란 앱을 출시하여 리모콘 기능, TV편성표, 프로그램 녹화 예약등 편의성까지 높이고 있습니다.
Comcast 미국 최대의 케이블 사업자로 이통사들의 IPTV가 본격화 됨에 따라서 그에 맞대응하기 위해 N스크린 전략을 내세두기 시작 했습니다. 2015년 세계시장에서 동영상 시장의 19%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이 될 만큼 강력한 강자 중 하나입니다. Comcast가 TV, 모바일, PC, 태블릿PC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했는데, 그것이 바로 "Xfinity"입니다. AT&T와 같이 모바일 어플을 제공하고 있는데 ipad용 앱은 리모콘, 녹화기능 외에 친구초대 기능을 넣어서 SNS를 결합했다고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 앱은 현재 75만 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하여 이슈가 되기도 했습니다.
삼성(Samsung) 제조사로 출발한 삼성은 최근 '바다OS'를 개발하고, 삼성앱스라는 앱스토어를 구축했습니다. 모바일 단말기와, 태블릿 PC, 스마트TV를 제조하며, 단말기 제조사의 장점을 크게 살리고, 경쟁력있는 강력한 콘텐츠 업체와의 제휴도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아직 애플과 같은 모든 단말기에 동일한 콘텐츠를 적용시키거나 OS를 직접 담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스마트TV와 함께 바다OS, 삼성앱스를 적극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아직 국외의 기업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지만, 강력한 제조 라인업으로 인해 소프트웨어 확충이 되면, 어느 회사 못지 않은 N스크린 강자가 되리라 전망이 됩니다. 최근에는 국내 최초로 SKT와 갤럭시 호핀이라는 N스크린 전략폰도 내놓았습니다
국내 3사 이동통신사(SK,KT,LG) 다행히 SKT의 경우 한때 강력한 콘텐츠 업체였던 '블록버스터'사를 인수한다는 소식이 있습니다. 넷플릭스에 밀려
만약 영화를 보던중이었다면 중간에 보단 장면을 이어서 즐기는 것도 가능합니다!
뭐 조만간 다른 스마트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하니 이점 확인해주세요!
그럼 스마트폰 자체에 HDMI 포트를 지원하겠다는 소립니까 아니면 전용 크레들을 HDMI와 스마트폰을 연결하는 어댑터를 개발하겠다는겁니까
KT Olleh는 IPTV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스마트폰, 태블릿에서 즐길 수 있는 N스크린 서비스를 계획중이랍니다 아직 제공되는게 아니에요! KT Olleh의 콘텐츠 앱스토어인 '올레마켓'에서 필요한 콘텐츠를 구입한 후 모바일 기기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이라는데요 기본적으로 SKT의 '호핀'과 유사하겠지만 아무래도 와이브로와 와이파이가 잘 갖춰진 KT Olleh이기에 대용량 콘텐츠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에 강한 면모를 보일 것 같군요
LG U+는 얼마전 액세스 포인트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스마트폰, 스마트 TV, PC, 태블릿 등의 다양한
아무래도 N스크린 서비스라는 것은 유저의 이동성을 최대한 고려한 서비스인데 집이라는 컨텐츠 허브로 돌아오게 된다면
|
'스크랩 > IT 방송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디자이너라면 챙겨야 할 타이포그래피 가이드라인 / 타이포그래피 관련 어플 (0) | 2011.08.28 |
---|---|
스마트 TV의 포지셔닝 및 발전방향 (0) | 2011.08.02 |
스토리보드 (0) | 2011.07.31 |
속도붙은 HTML5와 웹앱(web app) (0) | 2011.07.25 |
Touch korea (0) | 2011.07.25 |
스마트워크(Smart Work)란? (0) | 2011.07.24 |
기획 (0) | 2011.06.11 |
소셜허브, 소통의 중심지가 될 수 있을까? (0) | 2011.06.11 |
유형을 배려한 친절한 디자인 (0) | 2011.06.10 |
SK 커뮤니케이션 어플리케이션 / 비교, 분석, 문제점 도출 (0) | 2011.05.20 |